#2 중국에 간다면, 이정도는 알고가자

중국은 누구나 쉽게 방문하는 여행지이자, 출장지이다. 그만큼 중국에 대한 정보는 쉽게 접할 수 있고, 대부분의 중국 도시는 한국과 유사한 시스템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적응하기 쉽다.

개인적으로 중국은 여행자의 입장으로 처음 찾았다. 2001년 여행을 시작으로, 1선급 대도시뿐 아니라 간수, 신장, 티벳, 칭하이 같은 꽤나 깊숙한 지역까지 여행했다. 상하이는 2001년 첫 여행을  시작으로, 여러번의 출장과 짧은 주말 여행으로 방문했다. 즉, 중국과 상하이는 낯설지는 않다. 하

지만 ‘돈 없는’ 여행과 ‘돈 있는’ 출장 사이에 ‘장기 출장’이라는 애매한 녀석이 있다. 매번 택시를 타기에도, 호텔 세탁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도, 데이터 로밍을 하기에도 적절하지 않은 기간과 상황이다. 2015년 연말부터 중국을 오고갈 일이 많았고, 앞으로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포스팅은 ‘중국에 먼저가본 팀원’이 ‘다음에 가는 팀원’을 위해 쓴 내부 공유용 메모이다.

.

.

1. 날씨 및 기본 정보

10월말 처음 상해에 도착했을 땐 분명 여름이었다. 반팔을 입고도 땀이 났지만, 11월초부터 급격하게 추워졌다. 셔츠에 가죽 자켓을 입고 다니지만 왠지 모르게 서늘하다. 여름의 상해는 덥고 습하지만, 겨울을 앞둔 상해는 ‘음습’하다. 기온이 낮은건 아니지만, 일교차가 심하고 차갑게 습하다. 옷을 껴입어도 따뜻한 느낌이 없다. 감기에 걸리기 쉽고, 잘 낫지 않는다.  이 글을 쓴 시점은 11월이다. 그리고 잠시 심천(홍콩에서 가까운 도시다.)에 왔다. 중국은 넓고, 장기 출장을 왔다면 중국내에서의 출장도 가능하다. 11월의 북경에선 눈이 내리고, 상해는 서늘하며, 심천은 여전히 여름이다. 기온과 날씨에 민감하다면, 신경써야하는 부분이다.

  • 상해와 서울은 1시간의 시차가 있다. 시차를 무시하고 일정을 관리하면, 1시간씩 실수한다.
  • 공기가 매우 안좋으니, 마스크는 필요하다.
  • 상하이의 경우, 숫자로 보이는 기온보다 춥다. 옷을 따뜻하게 준비하는게 좋다.
  • 상해의 물가는 서울과 비슷하거나, 비싸다. 물론 환율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 대부분의 곳에서 아직 흡연이 가능하다. 거의 모든 곳에서 담배를 핀다.
  • 길거리 음식의 위생 수준, 식재료의 상태는 상상을 초월한다. 가급적 피하자.
  • 스타벅스 직원은 간단한 영어가 가능하다.
  • 대부분의 물건은 쉽게 구매할 수 있다. 한국에서 굳이 챙겨갈 물건은 별로 없다.
  • 각종 유제품은 섭취를 고민하는 것이 좋다. 유제품 파동이 있었다.
  • 숙박, 피시방, 기차 등을 이용할 때는 여권이 필요하다.

.
회사원의 신분으로 출장을 갔을 때는 호텔, 택시, 사무실, 레스토랑이 전부였다. 즉, 내가 경험한 대부분의 장소에서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환율이 어떻게 적용되던 내가 한국 원화로 결제한 금액을 회사에 청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내 사업을 위해 중국에 온 상황에서는 환율과 수수료를 생각하지 않을 수 있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현금을 최대한 넉넉하게 가져온 후, ICBC같은 은행 계좌를 열고 입금한 후에 Wechat Pay나 Alipay와 연동하는 것이다. 여기에 교통카드까지 조합하면, 현금 없는 중국 생활이 가능하다. 장담컨데 한국보다 편리하다.

  • Visa, Master, Unionpay 등의 표시가 된 ATM을 이용하여 현금 인출이 가능하다.
  • 생각보다 Visa, Master 카드를 취급하지 않는 곳이 많다.
  • Unionpay 카드를 하나 만들어가는 것이 좋다.

.

.

2. 인터넷, 그리고 VPN

중국의 인터넷은 빠르다. 하지만 호텔의 WiFi가, 카페의 인터넷이 빠르다는 보장은 없다. 내가 믁는 호텔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50kb/s 정도 나온다. 이 정도면 홈페이지 열고, 이메일 주고받고, 첨부 파일을 다운받기엔 역부족이다. 게다가 접속되지 않거나, 터무니없이 느린 사이트도 많다. 기본적으로 중국의 모든 웹사이트는 중국 당국에 신고를 해야한다. 서버가 중국에 있을 것, 담당자가 중국인일 것, 회사가 중국 회사일 것! 결론적으로 내가 사용하는 거의 모든 서비스가 중국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 구글의 모든 서비스가 안된다. (Gmail, Google Play, Google Drive, Youtube 등)
  • 드랍박스, 원드라이브 등 주요 협업 도구들도 동작하지 않는다.
  • 슬랙이나 일부 서비스는 접속 가능하지만, 매우 불안정하다.
  • 카카오톡은 대부분의 경우에 동작하지만, 간헐적으로 막히는 경우가 있다.

.

결론적으로 현재 한국/미국에서 사용하는 업무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VPN이 필수적이다. 이마저도 자주 막히고, 끊기고, 속도가 느려지기 쉬우니 한국에서 미리 여러 개의 VPN 계정을 만들고 테스트해보는게 좋다. 인터넷도 잘 안되는 상황에서 VPN까지 말썽이라면 업무 효율성이 바닥으로 떨어진다. 이 때문에 몇 시간씩 소모되는 것은 일상적이다.

.

.

3. 교통

대중 교통은 아주 훌륭하다. 서울의 지하철 + 버스 시스템을 생각하면 된다. 다면 지하철이 서울보다 일찍 끊기고, 비오는 날에는 택시가 안잡힌다. 특히 최근들어 대부분의 택시는 디디 같은 택시 앱으로 호출되기 때문에 피크 타임에는 길에서 택시 잡기가 어렵다. 디디의 경우 택시 기사와 통화한 후에 배차가 되기 때문에 우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교통 체증도 심하다.

  • 출퇴근 러쉬아워가 심각하다.
  • 목적지 관련 의사소통은 교차하는 2개의 도로명을 얘기하면 정확하게 이해한다.
  • 도로 신호가 동시신호이다. 좌회전 신호가 없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보통은 차도 옆에 자전거 도로가 있기 때문에 길을 건널 때 보다 주의해야 한다.
  • 특히 중국의 이륜차는 전기 구동식이라 소리가 나지 않는다. 늘 주변을 경계해야 한다.
  • 길을 건널 때는 한국보다 백만배 정도 조심해야 한다.

.

택시는 미터기를 이용하고, 원하는 경우 모든 상황에서 영수증을 발급한다. 친절한 느낌은 아니지만 아직까지 택시타고 사기당한적은 없다. 예를 들어 출퇴근을 위해 숙소에서 사무실까지 같은 시간에 택시를 타면, 가는 길은 달라도 요금은 10% 이상 차이나지 않는다. 그래도 어느 나라나 택시는 사기당하기 쉬운 장소이니, 조심하자. 특히 공항에서 타는 택시는 사기당할 가능성이 더 높다. 시는 조심하자.  그리고 삼륜차는 교통신호를 무시하고 운행하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출퇴근 시간에 이용하면 편리하다. 출발 전 기사와 ‘위치’, ‘소요시간’, ‘가격’ 등을 확인하고 탑승한다.

  • 택시는 현금, 교통카드가 모두 가능하다.
  • 안전상 이유로 운전석 뒷편 문은 열리지 않는다.
  • 미터기를 찍고 가야하며 찍지 않을 경우 바가지를 쓸 수 있으니 주의한다.
  • 11시 이후에는 할증요금이 부과된다.
  • 택시에서 교통카드 이용 시 카드 바꿔치기에 주의한다.
  • 잔액이 많이 남은 카드를 받아서 결제한 후에 빈 카드로 돌려주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현지인들 얘기로는 빨간색 택시는 가급적 피하는게 좋다고 한다.

.

지하철은 서울만큼 좋다. 다만 주의할 점은 환승 시간이다. 아무래도 도시 규모가 크다보니, 동일한 역에서 환승할 때에도 꽤나 많이 걸어야 한다. 그래서 환승이 포함된 경로로 이동할 경우, 생각보다 넉넉하게 시간을 잡고 출발하는 것이 좋다.

  • 지하철이나 택시를 타기 위해 교통카드는 필수다.
  • 기본 요금은 4원 정도이니 택시에 비해 아주 저렴하다.
  • 지하철 탑승게이트를 지날 때 간단히 짐 검사를 한다. 가방은 없는게 좋다.
  • 짐 검사를 무시하고 가는 사람이 꽤 있는데, 외국인은 가급적 규칙을 지키는 것이 좋다.
  • 교통카드 충전은 대부분의 역에서 가능하며 10원 단위로 가능하다. 영수증 발급된다.

.

4. 숙소, 출장의 시작과 끝

중국의 대도시는 전세계 어느 대도시만큼이나 모든 것들이 잘 갖춰져 있다. 따라서 중국에 머물기 위해 특별히 준비해야할 것들은 없다. 하지만 알아두면 좋을만한 몇 가지만 적어본다.

 

  • 수돗물은 마실 수 없다.
  • 여름이 아니라면 실외 온도에 비해 실내 온도가 낮다. 호텔인데 춥다.
  • 히터로 난방을 하기 때문에 매우 건조하다.
  • 모든 샤워실에는 가열등이 있다. 은근히 훌륭한 시스템이니 꼭 시도해보자.
  • 렌트한 집에 문제가 생길 경우, 집주인에게 연락하면 대부분 해결해준다.
  • 청소가 필요한 경우에도 집주인에게 연락하면 돈받고 해준다.

.

너무 당연하지만 숙소는 장기 출장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 중 가장 쉽고 별 생각없이 선택할 수 있는 숙소는 호텔이다. 중국에는 호텔이 정말 많다.

  •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호텔이 있다. 단, 대도시라면 서울보다 호텔이 비싸다.
  • 사진으로 보여지는 것과 실제 시설은 다를 수 있다.
  • 유명 브랜드 호텔이 아니라면 식사, 청결, 편의 시설, 소음 등은 천차만별이다.
  • 처음 방문하는 도시의 경우 목적지로의 접근성을 모르기 때문에 짧게 잡은 후에 원하는 숙소로 옮기는 것이 좋다. 앞서 언급했듯이 호텔은 널리고 널렸다. 심천에 10일 정도 출장을 갔을 때는 거의 매일 숙소를 바꿨다. 물론 재미로 그랬던 것도 있다. 하지만 소음, 접근성, 청결 등 각종 이슈 때문에 바꾼 경우도 반 이상이다.
  • 건물의 일부만 사용하는 호텔은 가급적 피한다. 소음, 안전상의 이슈가 있다.
  • 최근에 만들어진 호텔이 아무래도 좋다.

결론적으로 처음 방문하는 도시에 단기 출장을 떠난다면 당연히 호텔이 좋다. 그리고 기왕 호텔을 잡는다면 고급 호텔까지는 아니라도, 50~100위안 정도의 차이에 민감해하지 않는게 좋다.

.

그 다음으로 고려할 수 있는 숙소는 에어비앤비 또는 이와 유사한 중국 서비스를 통해 집을 렌트하는 방식이다. 상하이의 경우, 오래된 공동주택을 개조한 도심 지역 에어비엔비 물량이 많다. 살기에는 불편하지만 꽤나 매력적일 수 있다.

  • 경험적으로 에어비앤비는 만족도가 랜덤하다.
  • 관광지가 아니라면 내가 원하는 장소에 방을 구하기 어려울 수 있다.
  • 결국 가격, 크기, 시설을 고려했을 때 약간은 먼 곳에 잡을 가능성이 높다.
  • 2명이 1주일 이상 체류하는 상황에서 사용하는게 좋다.
  • 조리 도구, 냉난방, 수건이나 세면 도구, 세탁기 등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에어비엔비 상의 정보가 잘못된 경우도 많다. 역에서 5분 거리라고 했지만, 택시로 5분 이상 가야하는 거리인적도 있었다. 에어비엔비로 연락해서 환불했다.

매일 특정 장소의 사무실로 출퇴근하는 출장이라면 거리 상의 이유 때문에 추천하지 않는다. 강남으로 출퇴근하는데, 굳이 송파에 숙소를 잡을 필요는 없다. 상하이는 생각보다 크고, 교통 체증도 심하고, 대중 교통 환승 시 시간이 오래 걸린다. 잘못하면 출근길에 한 시간 이상이 걸릴 수 있다. 하지만 도시를 즐기고, 정기적인 출퇴근보다 다양한 장소로의 미팅이 많다면 매우 좋은 선택일 수 있다. 2인 이상인 경우에는 호텔보다 저렴해질 수 있다.

.

마지막 옵션은 한인 민박이다. 보통 하루에 200RMB, 한달에 5,000RMB 이런 식이다.

  • 우중루, 홍첸루 한인타운 근처에 민박이 많다.
  • 아침 식사, 주말 저녁 식사를 제공한다. 이게 생각보다는 심리적인 안정을 준다.
  • 빨래를 해주고, 셔츠를 다려주기도 한다.
  • 하숙이다보니 개인 프라이버시는 없다. 당연히 방음 같은건 기대하기 어렵다.
  • 시설은 에어비앤비나 호텔 대비 매우 떨어진다.
  • 다만, 전기장판 같은 생활 필수품들이 잘 갖춰져 있어 은근히 도움될 때가 많다.
  • 주택가라 비교적 조용하다.
  • 간이 영수증을 써준다.

식사, 빨래, 청소, 쓰레기, 숙소 예약, 언어적인 이슈 등으로부터 자유롭다. 즉, 아무 생각안하고 일만하기에는 아주 훌륭한 옵션이다. 다만 답답하고, 시설이 주는 매력은 전혀 없다.

.

5. 음식점

괜찮은 음식점을 찾기 위해서는 중국 맛집앱을 사용하는게 좋다. 은근히 괜찮은 음식점 중에는 허름한 빌딩 2~3층에 위치한 경우가 많다. 길을 걸으며 음식점을 찾는데는 한계가 있다.

우리가 점심을 먹듯, 한끼 식사를 해결하는데는 20~30위안 정도면 충분하다. 간단하게 면 요리로 식사한다면 이보다 훨씬 더 저렴하게도 가능하다. 당연히 맛있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