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의 육아] 1주차 – 진통, 출산, 입원

IMG_1666-ANIMATION.gif

 

 

지난주 토요일 늦은 오전, 운빨이가 태어났다. 이제 정확히 일주일이 되었다. 아빠로서 육아를 어떻게 해야할지, 어떤 부분들을 빠르게 배우고 실행해야할지 배워보기로 다짐했다. 그냥 책보고, 인터넷을 찾아보는 일은 분명 게을러질게 분명하니, 하나씩 정리하면서 기록하면 낫지 않을까 생각한다.

#1. 출산의 시작, 진통

마치 여행 준비 같다. 비행기표를 예매할 때만해도 엄청나게 준비해서 갈듯 생각한다. 하지만 결국 비행기에서 읽을 책 한두권 준비하는 것, 간신히 구겨넣은 여행 가방이 전부다. 그러면서 스스로 위안한다. ‘이런게 진짜 여행이야’라고. 나에겐 출산도 그랬다. 정말 많은 것들을 준비할거라 생각했지만, 출산의 순간은 생각보다 빨리 다가왔고, ‘마음의 준비’를 제외하곤 별로 준비된게 없었다. 그렇게 운빨이가 태어났다.

출산의 첫 단계는 진통이다. 남편의 입장에서 아내가 ‘진통’이 있는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배가 뭉친다’, ‘묵직하다’, ‘아기가 밑으로 내려간 느낌이다’는 얘기들을 들어보고 잘 판단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39주에 들어서면 언제든 출산할 수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집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갈 때는 당연히 주의해야하고, 산책을 나가더라도 5~10내로 돌아올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어딘가를 갔다가 돌아오는 산책이 아니라 집 주위를 이리저리 도는게 좋다. 진통이 시작되면 몇 분 단위로 진통이 오는지 체크하고, 산부인과에 전화한다. 아마 산부인과에서는 상황을 물어보고, 어떤 상태가 되면 병원으로 오라고 얘기할 것이니 여기에 맞게 행동하면 된다.

하면 안되는 것들

– 취소할 수 없는 미팅은 잡지 않는게 좋다.
– 절대 퇴근 후 술마시면 안된다. 언제든 운전 가능한 상태여야 한다.
– 잘 수 있을 때 충분히 자면서 컨디션을 유지한다.
– 주말이라고 무리해서 밤늦게까지 노닥거리지 않는다.

미리 준비할 것들

– 산부인과, 산후조리원 전화번호
– 산부인과 주차정보
– 출산 가방 위치, 출산가방에 마지막으로 넣을 물건들 (칫솔이나 안경, 충전기, 남편 옷가지 등)

그 외의 알아두면 좋은 것들

– 임신 기간동안 가급적 산부인과는 함께 가는게 좋다. 길, 주변 상점, 주차장, 병원 내부에 익숙해지면 좋다.
– 진통올 때 해줄 수 있는 허리 마사지 방법은 알아둬야 한다.
– 출산후에는 집에 다녀올 시간은 충분하다. 가방에 다 넣을 필요는 없다.
– 오히려 충전기나 칫솔, 수건, 비누, 티슈, 텀블러 같이 당장 사용할 물건들을 꼼꼼하게 챙기는게 좋다.

 

 

#2. 병원에서의 출산 준비, 진통

진통이 5분 간격으로 올 때 병원에 도착했다. 그 때가 대략 새벽 6시였다. 그 곳에서 3시간 넘게 대기하다가, 9시가 넘어서 분만실로 이동했다. 옆에서 지켜보기 안쓰러울만큼 고통스러워했는데, 조용히 옆에서 진통주기에 맞춰 마사지해주는게 좋다. 말을 많이 하는건 삼가자. 어느정도 진통이 심해지고, 출산을 위해 자궁문이 열리기 시작할 때 분만실로 이동한다. 이 때는 입고 온 옷들이나 물건들을 남편이 챙겨서 이동해야하니, 가능하면 커다란 백팩하나 메고가는게 좋다. 장담컨데 분만실로 이동하거나, 분만실에서 입원실로 이동할 때 한두개는 흘린다.

분만실에서는 간호사가 하는 얘기대로 조용하고 민첩하게 움직이면 된다. 통증이 심해지고, 자궁문이 3~5센치 이상 열리면 허리에 무통주사를 맞는다. 옆에서 조용히 손잡고 기다리자. 이 때 산모는 고통이 줄어들고, 선잠을 잘지도 모른다. 10분 간격으로 간호사가 들어와 상태를 확인하고, 때가 되면 우리가 영화나 드라마에서 늘 봤던 ‘힘주기’에 들어간다. 우리의 경우에는 ‘힘주기’를 시작하고 1시간 정도 걸렸고, 마지막 순간에 의사가 등장하고는 출산했다.

정리하면 이렇다.
– 금요일 저녁, 늦은 저녁 식사 후에 산책을 하다가 진통 시작. 이 때까지는 산책으로 인한 뭉침 정도로 의심
– 아내는 집에 와서 잠들었다가 1시부터 본격적으로 진통
– 나는 아내가 잠든거 보고 안심하고 옆에서 넷플릭스보다가 1시에 아내가 일어나는걸 보고 그제서야 자기 시작
– 2시쯤 등골이 서늘해지면서 일어남
– 뒤척이지 않고 잽싸게 일어나 샤워하고, 촐동 준비 완료
– 좀 오버한다고 아침까지 챙겨먹다가 혼남
– 옆에서 졸면서 마사지하고, 진통 주기 체크하는거 도와주면서 산부인과에 연락
– 토요일 새벽 6시 즈음 산부인과 도착
– 오전 9시까지 대기실에서 진통
– 분만실 이동 후 10시까지 진통 후 무통주사
– 무통주사 후에 잠시 쉬다가 11시부터 ‘힘주기’ 시작
– 11시 38분 출산

출산 후에는 그 순간을 간직하면 충분하다. 병원마다 다르겠지만 탯줄을 자르고, 아기를 씻기고, 첫 울음을 듣는다. 장담컨대 인생에서 가장 감동스러운 경험일 것이다. 부모를 믿고 세상에 태어난 생명이 두 팔과 두 다리를 허우적거리는 모습은 엄청나다. 제왕절개를 하지 않았다면, 비교적 간단한 처치를 마치고 잠시 쉬었다가 입원실로 이동한다. 이 때부터는 잘 쉬면 된다. 그 동안 아기는 신생아실에 있다.

 

몇 가지 생각들

– 병원에 간다는 사실을 양가 부모님께 알리는건 중요하다.
– 그렇다고, 출산전에 미리 오실 필요는 없다. 출산 후에 오셔도 충분하다.
– 출산을 축하한다고, 그래서 찾아오고 싶다는 친척들이 있다면 정중히 거절하자. 산모는 힘들다.
– 산모는 퇴원때까지 움직임이 불편하기 때문에 밖에 나가지 못한다. 즉, 남편도 밖에 나가지 않는게 좋다는 얘기다.
– 그렇기 때문에 입원실은 남편 입장에서 2박3일을 지낼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소파는 중요하다.
– 신생아실과 같은 층에 입원하면 여러모로 편하다.

/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