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리원 2주, 산후도우미 4주가 끝나고, 이제 7주차에 접어들었다. 어느새 12월이다.
수면 교육 – 밤잠
우리도 부모로서의 역할에 조금씩 적응해가고 있다. 그래서 오랫동안 생각해왔던 ‘수면 교육’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수면 교육은 그러니까 밤에 잠을 자는 연습이다. 우리의 생활 패턴에 맞춰 몇 가지 규칙을 정해봤다.
- 퇴근하고 바로 집에 온다. 늦어도 8시 반까지는 집에 도착한다.
- 퇴근하자마자 저녁을 준비하고, 같이 먹는다.
- 씻긴다. (~ 9시 정도)
- 침대를 안방으로 옮기고, 잘 준비를 다 한후에 안방에서 분유를 먹인다.
- 트림 시키면서 재운다. 그리고 침대에 눕힌다. (~9시 반 정도)
- 이 때 몇 가지 루틴을 만들어준다. 자장가, 백색 소음 같은 것들 말이다.
수면 교육의 가장 큰 목표는 완전히 잠이 들지 않더라도, 목욕을 하고, 분유를 먹으면 누워서 잔다는 신호를 주기 위함이다. 부모가 재워주지 않더라도, 아기가 스스로 잠들도록 연습하는 것이다. 그러다보면 한 번에 자는 밤잠의 길이가 길어질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두 번째는 낮과 밤을 구분하도록 알려주는 것이다. 밤에는 모두가 잠드는 시간이란걸 알려주려고 했다.
결과는 ‘나름’ 성공적이었다.
- 처음 하루 이틀이 지난 후 꽤 안정적으로 잠든다.
- 잠들기 시작하는 첫 30분은 깨서 뒤척일 때가 많다. 살살 달래서 계속 재운다.
- 저녁을 먹지 않고, 바로 씻기고 재운 후에 늦은 저녁을 먹는 것이 시간상 좋은 듯 했다.
- 수면 교육을 시작한다고 밤에 안깨는게 아니다. 어차피 3시간 간격으로 배고파서 깬다.
수면 교육 – 낮잠
밤에 잠을 잔다면, 이젠 낮에도 일관되게 재운다. 사실 아기띠를 한다거나, 안아서 재우면 언제든 ‘심하게’ 잔다. 배고파 쓰러질 정도가 되기 전까지 잔다. 낮잠에 대한 수면 교육은 침대에 누워 혼자 잠드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원래 생각했던 모습은 이런 것이었다.
- 하품을 하거나 졸린 표정을 지으면 재운다. (우리 아기는 졸릴 때 고개을 격하게 움직인다.)
- 안아주지 않고, 바로 침대에 눕힌다.
- 토닥이고, 말걸어주면서 재운다.
- 잔다.
하지만 낮잠은 그렇게 쉽게 되지 않는다. 안아서 재우면 쉽지만 낮에는 침대에 누워서 잠들지 않는다. 보통은 20~30분 서럽게 울다가 지쳐서 잠든다. 여기에 대한 아내의 증언이다.
울음소리를 들어보고 되겠다 싶으면 울더라도 재운다. 투정이 아니라 ‘자지러지게’ 운다고 생각되면 안아서 달랜 다음에 다시 눕힌다.
아이가 울어도 그냥 둔다는 소위 ‘유럽식 육아법’과 현실은 매우 다르다. 원래 책에 나오는 얘기를 있는 그대로 믿을 수 없는게 당연하지만, 현실에서는 아기에 대한 걱정이 좀 있다. 눈물이 맺힐 정도로 온 힘을 다해 우는 아기를 두고, 달래주지 않을 부모가 어디 있을까? 투정인지, 정말 싫은건지 구분하는건 쉽지 않다. 다만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한건 달래고, 안달래고의 문제라기 보다는 ‘완전히 재운 후에 눕힐 것인지’ 아니면 ‘달래는 주되, 잠은 누워서 자도록할 것인지’의 얘기였다. 도와는주되, 침대에 눕는 행동에 익숙해지길 바랬다.
어느덧 50일
정말 금방이다. 다행히 한 번도 아프지 않았다. 먹고, 자고, 싸는 것도 수월하다. 신생아 때와 비교하면 몰라보게 포동포동해졌다. 가끔씩 웃기도 한다. 이제 ‘신생아’에서 벗어나 ‘아기’가 된다. (접종 때문에 소아과에 가서 다른 ‘신생아’들을 보고, 우리 아기가 엄청 컸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50일이 넘어갈 무렵…
- 몸무게는 5kg를 넘었고, 키도 50cm을 넘었다.
- 사람을 보면 눈을 마주친다. 자주 보는 사람은 알아본다.
- 말과 행동에 반응한다. 아침에 하이톤으로 재롱을 부리면 한번쯤 웃는다.
- 다리와 팔, 손과 발에 힘이 느껴진다.
- 옹알이를 한다. 마치 대화하는 것처럼 옹알거릴 때가 있다.
- 가까운 곳에는 외출도 한다.
- 처음 80cc씩 먹던 분유도 이젠 160cc정도 먹는다.
50일 사진은 집에서 찍기로 했다. 그렇다고 소품을 거창하게 준비한 것은 아니다. 원래 있던 카메라와 집안에 뒹굴거리는 쿠션, 인형, 배게, 천을 총동원했다. 그리고 컨디션이 좋아보이는 주말 아침마다 계속 찍어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