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특한 전쟁 영화, 킬로 투 브라보

간만에 찾아보는 아프간 배경의 전쟁 영화다. 아프가니스탄 헬만드 지역에 투입된 영국 강습여단 소속 부대원들의 이야기다. 이라크 전쟁에 참여한 폭발물 제거반을 다룬 허트로커와는 달리 지뢰밭에 발을 디딘 한 부대를 그리고 있다.

.

#1 헬만드

아프가니스탄은 기본적으로 동서남북으로 주요 도시가 있다. 동쪽엔 수도인 카불(Kabul)이, 서쪽엔 13~14세기 중앙아시아/이슬람 문화를 꽃피웠던 헤랏(Herat)이, 북쪽엔 오래된 타직, 우즈벡인들의 도시 마자르샤리프(mazar-e-sharif), 남쪽엔 탈리반과 파슈툰족의 근거지인 칸다하르(kandahar)가 있다. 동서남북을 가로, 세로로 가로지르는 도로가 없이 각 도시를 외곽으로만 연결한다. 즉, 동쪽의 카불에서 서쪽으로 헤랏을 직접 갈 수 없다. 마찬가지로 북쪽의 마자르샤리프에서 남쪽의 칸다하르로 바로 이동할 수 없다.

.

북부동맹이 버티고 있던 사이 미국, 영국, 독일 등의 ISAF 연합군은 동, 서, 북쪽의 주요 거점 도시를 확보했고, 이로써 아프가니스탄의 중부와 북부를 차지한다. 하지만 영화의 배경이 되는 헬만드(Helmand) 주는 칸다하르와 함께 남부 파슈툰/탈리반의 거점이면서 동부 잘랄라바드와 함께 아편 생산을 주도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그만큼 중요한 군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고, 2006년부터 영국군이 이 지역을 주로 담당하게 된다.

.

영화의 제목이자 배경인 카자키(Kajaki)에는 남부 지역 전력 생산을 담당하는 댐이 있다. 아프간 특유의 에메랄드색이 아름다운 거대한 댐이다. 연합군의 개입이 침공이 아닌 평화 유지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라도 이 댐의 확보와 유지, 용량 증대는 영국군에게 매우 중요한 임무 중 하나였다. (실제 발전용 터빈을 칸다하르에서 카자키까지 ‘고작’ 120km을 이동시키는 작전을 위해 2년의 준비 기간과 5,000여명 이상이 작전에 투입되기도 한다.)

Screen Shot 2018-01-14 at 3.41.18 PM.png Screen Shot 2018-01-14 at 3.48.27 PM.png

Kajaki_Dam

.

.

#2 지뢰

사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지뢰다. 영화상에서는 소련-아프간 전쟁 시기에 심어져있던 지뢰가 이리저리 굴러다니면서 일종의 ‘협곡’에 모이게 되었다는 얘기다. 충분히 맞는 얘기지만, 실제 헬만드 지역에서는 탈리반이 새로 매설한 지뢰도 상당하다고 한다.

.

오래된 이야기지만, 2005년 아프가니스탄을 여행하면서 카불 – 바미얀 구간에서 차가 퍼진적이 있었다. 승합차에 타고 있던 10여명의 승객은 차에서 내렸고, 난 식중독으로 고생하고 있던터라  ‘볼 일’을 봐야했다. 비포장 도로, 나무 한 그루 없는 벌판, 당연히 나를 가려줄 구조물도 없는 곳에서 난 바지를 내리고 볼 일을 봤다. 그것도 길가에서 말이다. 지뢰가 있을거라 생각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아프간에서는 사람의 발이 닿지 않은 어떤 곳에도 가지 않는게 좋다고 들었다.

.

.

#3 영화는 그렇다면

이 영화의 주제는 영화 첫 도입부에 나온다. ‘난 여기 왜 왔는가?’. 사실 너무나도 반복되어온 전쟁 영화의 기본 주제다. 하지만 지역 주민의 지지를 얻지 못하는 아프가니스탄 남부라면 이는 좀 더 심각한 얘기가 된다. 사방이 적이고, 누구 하나 고마워하지 않는다.

.

특이하게도 아프간을 다루는 영화는 레스트레포나 코렌갈처럼 다큐멘터리 느낌의 작품들이 많다. 이 영화는 분명 극적인 사건을 다루는 영화지만, 매우 현실적이다. 첫 번째 지뢰가 터지고, 그 후에 일어난 일들은 영화의 시간과 현실의 시간이 거의 함께 흘러간다. 즉, 매우 사실적이지만 영화적 재미를 위한 각색은 최소화된 느낌이다. 현실에서도 크게 주목받았던 사건인만큼, 그 곳에 있었던 군인들에 대한 헌정 영화의 분위기도 느껴진다.

.

댐이 나오는 영화의 장면은 요르단에서 촬영되었다. 요르단의 Al Kaferin 댐이라고 한다. 당연히 아프간의 카자키 지역은 현재까지 전투가 벌어지고 있고, 불과 작년, 재작년에도 대규모 전투가 일어났던 지역이다.

.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