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자키 싱글 몰트는 “섬세한 달콤함”이라 표현하는데, 그만큼 부드럽다. 친구들을 초대할때 발베니와 함께 거의 실패하지 않는 술이기도 하다. 다만 다른 위스키와 함께 마시면 야마자키의 단맛이 두드러져 재미가 덜 할 수 있다. 이느쪽이건 한 번엔 한 종류씩 마시는게 좋다. 이번에 마신 야마자키는 연도가 기입되지 않은 가장 저렴한 녀석이다. (일본 주류 판매점에서 4~5천엔 정도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
꽃과 과일향, 오크향 등이 적절하게 난다. 뭐 이렇게까지 맛을 감별하지 못하니, 한마디로 표현하면 너무 무겁지 않고 달콤하고, 부드럽다는 얘기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일본 몰트 위스키는 온더락보다 스트레이트를 선호한다. 온더락이나 탄산수 등을 섞는 하이볼 형태로 마시면 야마자키는 대표적인 일본 위스키답게 ‘미즈와리(水割り, 물로 희석)’해서 마시는 방법도 있다. 개인적으로는 좋아하지 않는다.
.
야마자키는 일본 위스키 중에 가장 널리 알려진 이름 중 하나이다. 1924년에 설립된 증류소이고, 하쿠슈와 함께 선토리의 몰트 위스키를 만든다. 그 외에 그레인 위스키를 양조하는 치타 양조장이 있다. 위치는 오사카 인근이고, 연간 350만 리터를 생산할 수 있다고 한다. 당연히 오사카에서 방문, 체험하는 프로그램이 있다고 한다.
.
2015년, 세계 최고의 위스키 감별사인 ‘짐 머레이’가 매년 내놓는 위스키 바이블 2015년 판에서 야마자키의 싱글 몰트 셰리 캐스크가 1위를 차지했다. 그 무렵부터 야마자키를 포함한 일본 위스키의 수요가 급증했고, 가격도 많이 오르고 있다. 그 이후 국내 반입량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일단 몰트 위스키 계열은 거의 품절이라고 보면 된다.
.